교황 요한 1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요한 15세는 985년에 교황이 되기 전, 성 비탈리스의 추기경 사제였으며, 985년 8월 교황이 되었다. 그는 부패와 족벌주의로 로마 시민들의 평판이 좋지 않았으나, 클뤼니 수도원을 후원하며 교회 쇄신에 힘썼다. 재위 기간 중, 잉글랜드와 노르망디 간의 분쟁을 중재하고, 993년 아우크스부르크의 울리히 주교를 시성했다. 랭스 대주교직을 둘러싼 프랑스 왕국과의 갈등에 개입했으나, 996년 열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6년 사망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996년 사망 - 소손녕
요나라의 군인이자 외교관인 소손녕은 993년 고려를 침공하여 서희와의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고 고려-요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이후 실책과 사생활 문제로 공신 칭호를 박탈당하고 사약을 받아 자결했다. - 10세기 교황 - 교황 베네딕토 5세
교황 베네딕토 5세는 964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의 개입과 교황 레오 8세와의 갈등으로 폐위되어 유배 후 생을 마감한, 학자로서 명망 높았던 인물이다. - 10세기 교황 - 교황 요한 14세
교황 요한 14세는 983년부터 984년까지 재위했으며, 황제 오토 2세의 지명으로 교황이 되었으나 대립교황 보니파시오 7세에게 폐위되어 사망했다. - 10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베네딕토 5세
교황 베네딕토 5세는 964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의 개입과 교황 레오 8세와의 갈등으로 폐위되어 유배 후 생을 마감한, 학자로서 명망 높았던 인물이다. - 10세기 이탈리아 사람 - 마로치아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로마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마로치아는 투스쿨룸 백작의 딸로서 교황과의 관계 및 혼인, 아들의 교황 옹립 등을 통해 로마 정계를 장악했으며, 그녀의 통치는 교황직 암흑기로도 여겨지지만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로마를 통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교황 요한 1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이름 | 요한 15세 |
재임 기간 | |
시작 | 985년 8월 |
종료 | 996년 3월 |
선임자 | 요한 14세 |
후임자 | 그레고리오 5세 |
개인 정보 | |
출생 지 | 교황령, 로마 |
사망일 | 996년 3월 |
사망 장소 | 교황령, 로마 |
본명 | 조반니 디 갈리나 알바 |
추가 정보 | |
참고 | 요한 |
![]() |
2. 생애 초기와 교황 즉위
요한 15세는 로마의 사제 레오의 아들로, 985년 8월에 교황이 되기 전 성 비탈리스의 추기경 사제였다.[1] 즉위 당시 로마는 크레센티우스 2세의 세력 하에 있었으나, 98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의 어머니이자 섭정이었던 테오파누가 로마에 오면서 귀족 세력이 억압되었고, 이 상황은 991년까지 이어졌다.
993년 1월 31일 라테라노에서 열린 교회 회의에서 요한 15세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울리히 주교의 성인식을 거행했다. 이는 역사상 최초로 교황이 직접 거행한 성인식으로, 2월 3일자 교황 교서를 통해 프랑스와 독일의 주교들에게 알려졌다.
2. 1. 로마 귀족과의 관계
요한 15세는 로마의 사제 레오의 아들이다. 그가 교황좌에 올랐을 당시 로마의 귀족 크레센티우스 3세가 새 교황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방해하려고 했지만, 989년부터 991년까지 로마에 머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의 섭정을 맡은 테오파누 태후의 존재가 그의 야망을 가로막았다.[2] 교황으로 재임한 10년 동안 때때로 크레센티우스 3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한 요한 15세는 테오파누와 정치적 동반자로서 가까이 지내면서 어느 정도 교황의 권위를 회복하였다.요한 15세는 부패와 족벌주의 때문에 당대 로마 시민들로부터 평판이 좋지 못했다.[2] 하지만 그는 교회 쇄신을 주창한 클뤼니 수도원의 후원자이자 보호자로 나선 것은 칭찬받을 일이었다.[3] 조셉 브루셔는 요한 15세가 당시 로마에서 거의 권한이 없었기 때문에 이것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본다.[1] 크레센티우스 2세는 교황의 영향력을 상당히 방해했지만, 989년부터 991년까지 로마에 있던 테오파누 황후의 존재는 크레센티우스의 야망을 억제했다.[2]
3. 교황 재위 기간
요한 15세는 로마 사제 레오의 아들로, 교황으로 즉위했을 때 로마 귀족 크레센티우스 3세의 방해를 받았다. 그러나 989년부터 991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의 섭정을 맡은 테오파누 태후가 로마에 머물면서 크레센티우스 3세의 야망을 억제했다. 요한 15세는 재임 기간 동안 테오파누와 정치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며 교황 권위를 회복하려 했다.[2]
당시 로마 시민들은 요한 15세의 부패와 족벌주의를 비판했지만, 그는 클뤼니 수도원을 후원하고 보호하며 교회 쇄신을 지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요한 15세는 교황 사절 레오를 통해 잉글랜드의 에설레드 2세 왕과 노르망디의 리처드 1세 공작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기도 했다.[1]
993년 1월 31일, 요한 15세는 로마 시노드에서 아우크스부르크의 울다리코 주교를 시성했고, 같은 해 2월 3일 교황 칙서를 통해 프랑스와 독일의 모든 주교에게 이를 알렸다. 이는 교황이 처음으로 장엄 시성식을 집전한 사례이다.[6]
3. 1. 프랑스 왕위 계승 분쟁 개입
요한 15세 교황 재위 기간 동안, 프랑스 왕국의 랭스 대주교 해임 문제에서 비롯된 논쟁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훗날 서임권 투쟁의 초기 단계로 여겨진다.989년 3월, 프랑스 왕 위그 카페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 아르눌프(로테르의 서자)를 랭스 대주교로 임명했다. 그러나 아르눌프는 위그 카페를 배신하고, 숙부인 로렌 공작 샤를과 함께 같은 해 9월 랭스와 랭을 점령했다. 위그 카페는 반격하여 두 사람을 체포하여 오를레앙에 유폐했다. 991년 6월 랭스 근교 생 바르에서 열린 교회 회의에서 아르눌프는 반역죄로 폐위되었고, 후임으로 제르베르(훗날 실베스테르 2세)가 선출되었다.
생 바르 교회 회의는 교황 사절 부재 하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요한 15세는 로마에서 특사를 파견하여 아헨에서 교회 회의를 개최하고, 생 바르 회의에 대한 반대 결의를 채택하려 했으나, 아헨 회의에 프랑스 주교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결국 독일 및 로렌 지방의 주교들만으로 결의가 채택되어 제르베르를 파문했다. 잉겔하임에서의 회의에도 프랑스 주교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3. 1. 1. 랭스 대주교직을 둘러싼 갈등
991년, 랭스 대주교 아르눌프의 사임을 둘러싼 심각한 논쟁이 프랑스에서 벌어졌다. 위그 카페는 자신의 최대 적수(로렌의 샤를)의 조카였음에도 아르눌프를 988년 랭스의 대교구장 주교로 서임하도록 하였다. 이후 샤를은 랭스를 함락하고 아르눌프 대주교를 포로로 사로잡았다. 그러나 아르눌프가 자신을 배신했다고 생각한 위그는 요한 15세에게 그를 대교구장직에서 파면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요한 15세로부터 대답을 듣기도 전에 위그 카페는 서둘러 샤를과 아르눌프를 사로잡아 991년 소집된 랭스 시노드에서 아르눌프를 대교구장직에서 파면시키고 후임자로 오리약의 게르베르(훗날 교황 실베스테르 2세)를 추대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였다.[3]시노드에서 오를레앙 교구장 아르눌프 주교는 요한 15세를 다음과 같이 고발하였다.
> 거룩한 아버지들인 우리가 겸손한 사제품 후보자들의 생활과 윤리, 성과를 면밀히 살펴볼 의무가 있을진데, 하물며 모든 사제의 주인이자 우두머리이고자 하는 사람이 과연 그 직무에 적합한지 우리가 더욱 면밀히 살펴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이를 위한 모든 미덕이 지극히 부족하고, 성직품 가운데 가장 낮은 품을 받기에도 미흡한 사람이 가장 높은 성직에 오른다면 어떻게 우리와 함께 지낼 수 있겠습니까? 여러분은 자줏빛과 금빛으로 번쩍거리는 의자에 앉아 있는 그를 보면 뭐라고 말하겠습니까? ‘하느님의 성전에 앉아 스스로를 하느님처럼 보이게 하는 그리스도의 적’이라고 말하지 않겠습니까?[7]
랭스 시노드의 절차는 로마에 의해 거부되었지만, 두 번째 시노드는 랭스에서 발표된 포고령을 비준했다. 요한 15세는 프랑스 주교들을 소집하여 아헨에서 프랑스 왕의 영토 밖에서 독립적인 시노드를 열어 이 사건을 재고하도록 했다. 그들이 거부하자, 그는 그들을 로마로 소환했지만, 그들은 이동 중과 로마의 불안정한 상황으로 인해 불가능하다고 항의했다. 그러자 교황은 레가테를 파견하여 무송에서 프랑스 및 독일 주교 회의를 소집하라는 지시를 내렸는데, 독일 주교들만 참석했고, 프랑스 주교들은 위그 카페와 그의 아들 로베르 2세에 의해 길을 막혔다. 레가테의 노력으로 아르눌프의 파면은 마침내 불법으로 선언되었다. 위그 카페가 996년 10월 23일에 사망한 후, 아르눌프는 투옥에서 풀려나 곧 그의 모든 지위가 회복되었다. 게르베르는 마그데부르크의 황실 궁정으로 가서 오토 3세 황제의 교사가 되었다.[3]
3. 1. 2. 교회의 반발과 중재 노력
991년 프랑스 성직자들은 랭스 대주교 아르눌프의 사임 문제를 놓고 심각한 논쟁을 벌였다. 교황 요한 15세의 개입은 처음에는 뚜렷한 결과를 내지 못했다. 이 사건은 훗날 서임권 투쟁으로 이어진 교황과 프랑스 군주 간 갈등의 전초로 해석되기도 한다.[7]프랑스 국왕 위그 카페는 자신의 최대 적수(로렌의 샤를)의 조카였음에도 아르눌프를 988년 랭스의 대교구장 주교로 서임하게 했다. 이후 샤를은 랭스를 함락하고 아르눌프 대주교를 포로로 사로잡았다. 그러나 아르눌프가 자신을 배신했다고 생각한 위그는 요한 15세에게 그를 대교구장직에서 파면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요한 15세로부터 대답을 듣기도 전에 위그 카페는 서둘러 샤를과 아르눌프를 사로잡아 991년 소집된 랭스 시노드에서 아르눌프를 대교구장직에서 파면시키고 후임자로 오리약의 게르베르(훗날 교황 실베스테르 2세)를 추대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였다.[3]
시노드에서 오를레앙 교구장 아르눌프 주교는 요한 15세를 다음과 같이 고발하였다.
> 거룩한 아버지들인 우리가 겸손한 사제품 후보자들의 생활과 윤리, 성과를 면밀히 살펴볼 의무가 있을진데, 하물며 모든 사제의 주인이자 우두머리이고자 하는 사람이 과연 그 직무에 적합한지 우리가 더욱 면밀히 살펴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이를 위한 모든 미덕이 지극히 부족하고, 성직품 가운데 가장 낮은 품을 받기에도 미흡한 사람이 가장 높은 성직에 오른다면 어떻게 우리와 함께 지낼 수 있겠습니까? 여러분은 자줏빛과 금빛으로 번쩍거리는 의자에 앉아 있는 그를 보면 뭐라고 말하겠습니까? ‘하느님의 성전에 앉아 스스로를 하느님처럼 보이게 하는 그리스도의 적’이라고 말하지 않겠습니까?[7][4]
랭스 시노드는 제2차 회의에서 칙령이 비준되어 발표되었지만, 로마는 이를 거부했다. 요한 15세는 랭스 대주교의 파면 사건을 다시 심의하기 위해 프랑스 주교들에게 프랑스 국왕의 영향에서 벗어난 독립적인 시노드를 프랑스 밖 영토인 아헨에서 다시 소집할 것을 지시했다. 프랑스 주교들이 이를 거부하자, 요한 15세는 그들에게 즉시 로마로 출두할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이번에도 프랑스 주교들은 프랑스에서 로마로 가는 길이 위험하고, 로마의 치안도 불안정하다는 이유를 들어 거부했다. 이후 요한 15세는 교황 특사를 통해 프랑스와 독일의 주교들에게 무송에서 시노드를 소집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시노드 소집 당일 무송에는 독일의 주교들만 참석하고, 프랑스의 주교들은 위그 카페와 그의 아들 로베르의 반대로 참석하지 않았다. 교황 특사의 노력으로 아르눌프의 파면은 최종적으로 불법으로 판결되었다.[3] 996년 10월 23일에 위그 카페가 죽고 난 후 아르눌프는 감금 상태에서 풀려나 곧 자신의 모든 지위를 회복하였다. 제르베르는 랭스 대교구장직에서 물러나 마그데부르크 궁정으로 가서 오토 3세 황제의 개인 지도 교사로 임용되었다.[3]
994년 쉘 교회 회의에서는 아헨과 잉겔하임에서의 결의를 무효로 했다.
3. 2. 교회 쇄신과 시성
993년 1월 31일 로마 시노드에서 요한 15세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울다리코 주교를 장엄하게 시성하였으며, 이를 같은 해 2월 3일 프랑스와 독일의 모든 주교에게 교황 칙서를 통해 공표함으로써 널리 알렸다. 이는 역사적으로 교황이 처음으로 장엄하게 시성식을 집전한 첫 사례로 기록된다.[6]4. 말년과 죽음
996년 황제 오토 3세는 교황이 집전하는 황제 대관식을 거행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길을 떠났다. 그러나 그가 예수 부활 대축일을 지내기 위해 4월 12일까지 파비아에 머무는 동안 요한 15세는 996년 4월 초 열병으로 선종하였다.[1] 그러자 오토 3세는 자신의 친척인 브루노를 교황으로 선출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는데, 그가 바로 교황 그레고리오 5세이다.[1]
황태후 테오파누가 떠난 로마에서는 금전욕이 강하고 혈연자를 우대했던 요한 15세에 대한 로마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져, 995년부터 996년 사이에 요한 15세는 로마에서 추방당했다.[4] 황제 오토 3세는 로마를 회복하려 진군했고, 제르베르는 황제를 수행했다.[4] 하지만 요한 15세는 황제가 로마에 도착하기 전인 996년 4월 초에 열병으로 사망했다.[4] 랭스 대주교좌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사망하게 된 것이다.[4]
요한 15세의 후임으로는 오토 3세에 의해 오토 1세의 증손 브루노가 그레고리오 5세로 선출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John XV
http://www.stsmartha[...]
[2]
EB1911
John XV (pope)
[3]
간행물
"Pope John XV (XVI)."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7-09-27
[4]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 & Sons
2009-01-18
[5]
도서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1024-c.1198, Volume 4
[6]
도서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1024-c.1198, Volume 5
[7]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books.google.[...]
Charles Scribner & Sons
2009-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